최근 인도 주식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많이 나오는데요. 인도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때문이겠죠. 그래서 인도투자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 직접 인도주식을 거래하는 방법이 현재까지는 없습니다. inda etf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텐데요. 관련 etf의 정보에 대해서, 그리고 어떤 대형주들에 투자하는지 등에 대해서 빠르게 살펴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MSCI 인덱스 추종이 아닌,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인도의 개별주들이 있다는 사실도 알고 계셨나요?
개별주부터 인도와 관련된 ETF까지 싹 다 정리해 보았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INDA ETF, INDA iShares MSCI India ETF
INDA ETF의 정식명칭은 iShares MSCI India ETF (INDA)입니다.
인도 대형주와 중형주에 투자하여 MSCI India Index의 성과를 추적하는 Blakrock 자산운용에서 설계한 상품입니다. (브랜드명은 ishares) 스파이더와 뱅가드와 함께 미국 글로벌 자산운용사 3 대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첫 글자 i로 시작하는 ETF명은 대부분 ishares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번 ETF는 India의 i일 것 같네요.
2012년 2월 2일에 출시된 INDA는 인도 주식 시장에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자세한 내용 좀 더 알아볼게요.
인도 주식 거래 직접사는건 불가능할까?
INDA의 주요 특징
투자 전략
이 펀드는 인도 주식 시장의 약 85%를 차지하는 MSCI India Index의 성과를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MSCI는 모건스탠리에서 만든 지수인데요.
인도 기업들의 대형주, 중형주들, 쉽게 말해 인도 전체 시장의 주도주들을 모두 합쳐 만들어낸 지수입니다. MSCI 지수는 시장 전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바로미터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떤 국가, 혹은 어떤 지역의 'MSCI 지수가 올랐다는 것은 경제적 측면에서 아주 분위기가 좋다'라고 판단해 볼 수 있는 건데요.
INDA가 바로 이 지수에 투자하는 것이죠.
쉽게 말해, 인도 주식 시장 분위기가 좋아지면, INDA ETF도 함께 상승하며 수익을 보는 구조입니다. 인도 주식시장이 밝을 거라는 기대를 하고 계신 투자자분들은 INDA를 사시면 되는 것이죠.
성과 및 실적
시킹알파에서 INDA ETF의 현재 성과를 찾아보겠습니다.
상장 이후 주가
상장 이후 총 수익률은 113.74%으로 확인됩니다.
1년 평균 주가
다음은 1년 평균 주가 수익률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무려 28.73%입니다.
이것만 봐도 인도 증시가 성장하고 있고, 경제적으로 아주 좋은 분위기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위 사진의 그래프는 글을 보시는 시점과 실제 실시간 주가가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미국 한국 인도 시장 수익률 비교
인도 미국 한국의 지수 기준 비교 그래프입니다.
5년 평균수익률을 보면 미국 인도 한국순으로 나타납니다.
미국의 수익률만큼 높진 않지만, 인도 또한 분명한 성장세를 띄고 있는 것이 눈으로 확인됩니다.
이렇게 시킹 알파에서 인덱스를 비교해 보면 한눈에 어떤 시장이 어떤 식으로 흘러가는지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펀드의 성과는 공정가치 평가와 발생한 자본 이득세 등의 요인으로 인해 벤치마크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보유 종목(구성종목)
INDA는 다양한 136개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보유 종목으로는 Tata Consultancy Services Ltd, Bharti Airtel Ltd, Axis Bank Ltd, Mahindra & Mahindra Ltd 등이 있습니다
글을 보는 시점에는 편입 비율이 약간 달라져있거나 새로운 인도 주식들이 추가되어 있을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생소한 기업들이 꽤 많을 겁니다. 최소한 각 개별주가 어떤 섹터들인지 정도는 알아보시면 좋습니다. 한 줄로 요약해 보았습니다.
- Reliance Industries Ltd: 석유화학, 정유, 통신, 소매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다국적 대기업.
- ICICI Bank Ltd: 기업 및 소매 고객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도의 주요 민간 은행.
- Infosys Ltd: 글로벌 IT 서비스 및 컨설팅 기업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
- HDFC Bank Ltd: 소매 금융 및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도의 주요 민간 은행.
- BlackRock Cash Funds Treasury SL Agency: 고품질 단기 투자로 자본 보존을 목표로 하는 BlackRock의 머니 마켓 펀드.
- Tata Consultancy Services Ltd: 글로벌 IT 서비스 및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
- Bharti Airtel Ltd: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이동통신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통신 회사.
- Axis Bank Ltd: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도의 주요 민간 은행.
- Mahindra & Mahindra Ltd: 다양한 차량 및 농업 장비를 생산하는 인도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
- Larsen & Toubro Ltd: 엔지니어링, 건설, 제조, 기술 및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활동하는 다국적 대기업.
인도 MSCI 지수 내 중대형주들은 의외로 금융 쪽과 소비재 쪽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배당 정보
ETF에 투자하는 가장 큰 장점은 바로 빈번한 배당금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러나 아쉽게도 INDA의 경우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3년에는 1회 배당이 있었습니다. (6월)
2024년부터는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운임수수료
펀드의 운임수수료는 0.65%이며, 패시브 ETF 치고는 높은 수준입니다.
국내 액티브 상품들의 운임수수료가 0.8%인 점을 감안하면, 인도증시에 투자하는 것이 얼마만큼 까다로운 것인지 예상이 됩니다. 블랙락 펀드에서도 인도 MSCI 추종 ETF의 수수료를 높게 책정한 이유가 있는 것이죠.
INDA ETF 마무리
지금까지 INDA ETF에 대하여 빠르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운임수수료가 비싸고 배당은 없지만, 성장 가능성이 무한한 인도에 자본을 편리하게 넣을 수 있는 방법 같습니다.
저도 여러 방법으로 인도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으나, 현재까지 인도에 투자하는 방법 중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은 ETF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인도 투자 고민 중이신 분들은 INDA ETF를 고민해 보시길 바랍니다.
인도 관련 필수 상식
댓글